캐나다의 생리학자인 셀리에(Saleye. H. : 스트레스 학설을 제창한 캐나다의 생리학자)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심신의 부하에 의한 자극, 사건, 상황에 의하여 개체 내부에 발생하는 긴장상태"라고 합니다. 심신증 (psychosomatic disease)이란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심신증이란 스트레스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증상입니다. 특히 심리적, 사회적 스트레스로 인해 몸에 기질적 또는 기능적 장애가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단, 우울증, 신경증 증의 다른 정신장애에 따른 신체증상은 제외됩니다. 이 심신증에 의하여 일어나는 질환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호흡기 쪽에 문제를 일으켜 기관지 천식, 과환기 증후군 등을 유발하기도 하고, 순환기 질환인 본태성 고혈압증, 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의 ..
질병과 건강
2022. 1. 23.
먼저, 감기는 약을 먹지 않아도 낫는다는 것은 사실일까요? 90% 이상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감기이고, 세균을 공격하는 약인 항생물질을 먹어도 효과는 없습니다. 우리 신체의 자연치유력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며, 감기약은 증상을 다소 개선시킬 뿐입니다. 자연치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과로를 피하고, 충분한 수면과 균형적인 식사가 중요합니다. 비타민 A, CM 카로틴, 단백질 등을 섭취하는 올바른 식생활과 적당한 유산소 운동(주 3~4회 이상)을 습관화하고 체력 강화를 촉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드물기는 하지만 폐렴구균, 렌사구균, 용혈성 렌사구균 등의 세균 감염에 의한 증상일 경우 감기, 고열과 전신증상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에 대해서는 조기의 약물요법이 필요합니다. 감기와 독감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질병과 건강
2022. 1. 7.
자율신경(autonomic nerve: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은 의사와는 관계 없이 심장, 폐, 위, 간장, 신장, 대장, 소장, 방광, 생식기, 혈관, 내분비선, 땀샘, 타액선, 동공 등의 움직임을 지배하거나 조절합니다. 또 체내의 다양한 방어체제를 정비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가 빈번히 일어나면, 이 시스템이 파괴되어 심박수가 증가하고, 혈압 상승, 근육 긴장, 다한 등의 변화가 나타납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질병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소화기 질환에는 과민성 대장염, 신경성 위염, 위와 십이지장 궤양이 있습니다. 상습성 변비(habitual constipation)란 창자에 특별한 병이 없는데도 늘 변비가 되고, 어린이들에게 모유부족 및 당분부족 따위로, 성인에게는 운동부족 및..
질병과 건강
2022. 1. 2.
지방간(Fatty liver)이란 그 자체가 질환은 아니며 간 조직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간세포 안에서 중성 지방을 중심으로 지질이 쌓인 상태, 몸이 수분을 함유한 중량인 습중량의 5% 이상을 지질이 차지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간은 문맥을 지나 위, 소장, 대장 등에서 흡수한 다양한 영양소의 분해 및 재합성, 저장을 합니다. 또 알코올 분해, 유독물질의 해독뿐만 아니라 생체 방어에 필요한 면역항체의 생성, 혈액응고 요인의 생성, 적혈구의 분해, 철이나 각종 비타민의 저장, 소화관의 소화 및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담즙의 생성 등 몸의 화학공장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중요한 장기입니다. 위, 소장, 대장 등에서 정맥혈을 통해 흡수되는 영양소는 탄수화물과 단백질 그리고 지질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탄수화..
질병과 건강
2022. 1. 2.
골절은 크게 두가지 요인(외적요인, 내적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외적 요인으로 넘어지기 쉬운 불량한 조명이나, 계단, 장애물, 미끄러운 바닥등에 의해 발생하고, 내적 요인으로 치매, 의식장애, 청각장애, 평형감각장애, 시력장애, 근력 저하, 골량 저하, 약물의 부적절한 복용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골절 빈도는 늑골 골절, 상완골(근위단) 골절, 척추추체 압박골절, 전완골 골절, 대퇴골 경부골절 이 높습니다. 고령자일 수록 젊은 사람에 비해 뼈의 골량이 낮아지고, 근력이 낮아 골절의 발생 빈도가 더 높습니다. 따라서 넘어짐 방지를 위한 자택 내의 환경을 잘 정비 해 놔야 합니다. 화장실과 욕실에는 손잡이를 설치하고, 침대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버팀목이나 가드를 부착해 놓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침실의..
질병과 건강
2021.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