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무호흡 증후군(SAS : sleep apnea syndrome)이란?
수면 중에 상기도 협착이 원인이 되어,
10초 이상 무호흡이 나타나는 것을
"수면 시 무호흡"이라고 정의합니다.
이 "수면시 무호흡"이
평균 5회/시간당 이상 일어나는 것을
"수면무호흡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수면에 의한 상기도 폐색은 체간근이 이완하고,
누워있는 자세로 인하여 상기도벽의 연부조직이
중력의 영향으로 침하됩니다.
연구개나 설근이
인두후벽에 움푹 들어감으로써 발생합니다.

또한 입을 벌리면 하악과 함께 설근 침하가 일어납니다.
또 협착이 조장됩니다.
이 협착을 이겨내고 호흡하는 것이
코골이(snoring)입니다.
무호흡 후 환기 개선에 의한
극심한 코골이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면 시 무호흡 증후군인 환자는
깨어있을 때에도 잠재적 상기도 협착을 보입니다.
원인으로 주로 성인은
비강 및 부비강 질환, 구협 협태 이상,
고도 비만이 있습니다.
유아의 원인으로는
아데노이드(구개편도비대)를 들 수 있습니다.
비만인 사람중 무호흡 증후군이 많은 원인은
상기도 협착이 중력의 영향으로
항진된 결과로 생각됩니다.
수면 시 무호흡 증후군은 보통 수면 중에
각성 반응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하루 중에는 수면부족에 의한 과도한 졸음으로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등
사회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다르지만,
지속적 기도양압요법(NCPAP), 구강 내 장치,
구개수구개 인두 성형술 등이 있습니다.
'질병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들은 청진기로 어떤 소리를 들을까요? (0) | 2022.01.12 |
---|---|
발작성 천식이란? (0) | 2022.01.10 |
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이란? (1) | 2022.01.08 |
감기(Common cold) vs 독감(Influenza) (0) | 2022.01.07 |
변비나 설사의 원인, 스트레스 (1) | 2022.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