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폐소생술 교육과 무료 교육방법 알아보기

wealthy-mari 2024. 3. 22.

심폐소생술 교육은 누구나 배울 수 있고, 위급상황에서 꼭 필요한 기술인데요.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교육 기관과 배우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어렵지 않으니 읽어보시고 사람을 살리는 소중한 기술 하나 가져보세요!

심폐소생술 교육과정 알아보기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은 크게 일반과정과 전문가과정으로 나뉩니다. 교육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문가과정은 강사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심폐소생술 교육 일반과정 

  •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 전화지도 심폐소생술(HEROS)교육
  • 자동심장충격기(AED) 교육
  •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

전문가과정은 이 내용에 대한 심화와 교직원 직무연수를 위한 교육으로 이루어집니다.

심폐소생술 교육심폐소생술 교육심폐소생술 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순서와 방법 알아보기

심폐소생술은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심장마비와 같이 심폐기능이 일시적으로 멈춘 환자에게 응급으로 처치하는 방법입니다. 심장에 압력을 주기적으로 주어 심장이 다시 뛰면서 호흡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데요. 기본적인 심폐소생술의 순서와 방법을 알아보세요.

심폐소생술 순서와 방법

  1. 환자 판단하기 : 환자의 의식과 호흡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심폐소생술을 실시할지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2. 응급 신고하기 : 119에 신고를 하여 빠른 시간 안에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호흡 확인하기 : 환자가 숨을 쉬는지 확인합니다. 호흡이 없는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4. 흉부압박하기 : 환자의 가슴 중앙 부분인 흉부에 양 손바닥을 포개어 얹어 흉부를 압박합니다. 흉골 아래를 피하여 압박해 주세요. 팔을 펴고 체중을 이용해 압박합니다.
  5. 인공호흡하기 : 흉부를 압박한 뒤 환자의 입과 코를 막고 환자의 가슴이 부풀어져 올라오도록 인공호흡을 합니다. 1회 압박 후 2회 인공호흡을 해주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입으로 직접 인공호흡을 할 경우 구강 보조장치(마사크, 벤트레이터)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6. 압박과 인공호흡 반복하기 : 30회 압박 후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하여 줍니다.
  7. 전문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하기 : 의료진이 도착하기 전까지 반복해 줍니다.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상황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판단해야 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와 실시하는 사람의 안전입니다.

심폐소생술 교육심폐소생술 교육

심폐소생술 교육기관 알아보기

 

심폐소생술 교육기관

심폐소생술은 다양한 기관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무료로 배울 수도 있고 적은 비용으로도 자격증 취득이 가능합니다. 이론을 배우고 실습해 보면 실제 응급상황에도 누구나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심폐소생술을 교육하는 교육기관별 특징을 알려드릴게요.

 

  • 의료기관 : 병원, 응급센터, 의과대학 등의 의료기관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이수할 수 있습니다. 교육대상은 주로 의료계종사자나 의과 관련 학생입니다. 일부 의료기관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CPR 교육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 협회 및 단체 : 응급구조와 관련된 비영리 단체 여러 곳에서 무료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합니다. 협회나 단체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기본 교육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온라인교육 :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 교육은 온라인으로도 쉽게 접하실 수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이론을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직접 실습을 해볼 수 없어 온라인 교육은 이론 위주로 익히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응급구조 학원 : 응급구조 학원이나 응급 구조 기관에서는 CPR 및 응급처치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이러한 학원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본 CPR 교육부터, 응급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고급교육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 지자체 및 보건소 : 여러 비영리 단체나 응급구조 관란 단체에서도 심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하는데요. 지자체나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비용이 들지 않고 무료로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미리 접수를 해야 하기에 사전에 스케줄확인을 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 교육심폐소생술 교육심폐소생술 교육심폐소생술 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무료 신청하기

 

위에서 말씀드린 심폐소생술 무료 교육기관으로 지자체 공공기관과 보건소가 있습니다.

먼저 가까운 곳으로 본인이 거주하는 곳의 보건소에 문의를 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부분의 보건소에서 심폐소생술과 관련한 정기 교육을 진행합니다. 

 

서울시 심폐소생술 무료신청 바로가기

 

지자체별 교육대상자가 다를 수 있으니 보건소의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건소 위치 문의처 상설교육장 비고
강남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 668 02-3423-7148 보건소 3층
보건교육실
개인신청 / 단체신청
강동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로 45 02-3425-6797    
강서 서울시 강서구 공항대로 561 02-2600-5855
02-2600-5945
보건소 3층 응급처치상설교육장(염창동) 개인신청/단체신청
강북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335-1 02-901-2281~2 강북구
응급의료교육장
개인신청/ 단체신청
관악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로 279-7 02-879-7414
02-879-7402
관악구보건지소상설
교육장
개인신청/단체신청
/단체출장신청
광진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천면로2, 광진구민체육센터 02-450-1968 광나루안전체험관/광진구민체육센터 온라인접수, 전화접수
구로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28길 66 02-860-2114    
금천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 87길 27 02-2627-2114 보건소 보건교육실 개인신청/ 단체신청
노원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해로 437 02-2116-3321~3 노원구
심폐소생술교육장
개인신청/ 단체신청
도봉 서울 도봉구 마들로 656 도봉구청 지하1층 02-2091-4507~9 도봉구 무료
상설교육장
개인신청/ 단체신청
동대문 홍릉복지문화센터 지하1층 생활체육실 02-2127-5454 4층 보건교육실 개인신청/ 단체신청
동작 서울특별시 동작구 장승배기로10길 42 02-820-9692 보건소 2층
보건교육실
개인신청/ 단체신청
마포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 212 02-3153-9123 현재 운영하지 않음 단체신청
서대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 242 02-330-8912 보건소 8층 미소지움관(지역재난의료지원센터) 개인신청/단체신청
서초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584 02-2155-8049 보건소 지하
건강키움터
개인신청/단체신청
성동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23길 10 02-2286-6087
02-2286-7100
생명안전배움터
(마조로11길 6 마장국민체육센터 내)
개인신청/ 단체신청
성북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63 02-2241-3114    
송파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26 02-2147-2000   개인신청/단체신청
(단체신청은 보건소 홈페이지 서식 다운로드 후 메일접수 요망)
송파 서울특별시 송파구 성태천로 35길 53 070-4418-6265 송파안전체험
교육관
개인신청/단체신청

 

 

댓글